본문 바로가기

LIVING

아랍어 ㅣ 아랍 여행을 위한 기초 회화

728x90
반응형

 

 

 

 

아랍어 ㅣ 아랍 여행을 위한 기초 회화

 

 

1. 아침인사

 

@. 싸바할카이르

.صَبَاحَ الْخَيْرِ

 

영어의 Good morning에 해당하는 의미로 먼저 인사하는 측이 사용

 

@. 싸바한누르

.صَبَاحَ البُّورِ

 

이것도 싸바할카이르와 같은 의미이지만 답변을 할 때 쓰는 인사말

 

 

2. 만날 때 하는 인사

 

@. 앗쌀라아무알라이쿰

.السَّلاَمُ عَلَيْكُمْ

 

 당신에게 신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의 의미

 

@. 와알라이쿠뭇쌀라암

.وَ عَلَيْكُمُ السَّلاَمُ

 

이것은 대답을 하는 측에서 사용

 

 

3. 헤어질 때 하는 인사

 

@. 마앗쌀라아마

.مَعَ السَّلاَمَةِ

 

 상대방도 마앗쌀라아마 하시던가 곧바로 나올 '일랄리까'를 쓰시면 된다

 

 

4. 또 뵙겠습니다.

 

@. 일랄리까

.الى اللقاء

 

정확한 의미로는 '다시 만날 때까지' 

 

 

5. 다시 말씀해주시겠어요?

          هــل تــحــد ثـــنــي  مـ 

@. 할 타흐다쑤니 마르라 우크라?

 

 

6. 저는 누구누구입니다.

 

@. 아나 ~, 이쓰미이~(뒤에 자신의 이름을 말하면 됨)

 نـأ ,    أ سـمــي       ـ

 

 아나(좌측)는 I am의 뉘앙스이고 이쓰미이(우측)는 My name is의 뉘앙스

 

 

7. 이름이 뭔가요?

 

@. 마쓰무카?(대상이남자일때), 마쓰무키?(대상이 여자일때)

مــااســمــك

카는 2인칭 남성대명사이고 키는 2인칭 여성 대명사

 

 

8. 제가 당신을 뭐라고 부르면 되나요?

 

@. 마다아 아드우우카 비씀?

 

마다아는 아랍어 동사 문에서 What의 의미이고, 아드우우카는 내가 당신을 부르다의 의미이고, 비씀은 이름을 이란 의미

 

 

9. (물건 같은 것을 보여주면서) 여기 있습니다.

 

@. 후나아(뒤에 물건명)

 

후나아 자체가 영어의 Here is의 의미 

 

 

10. 감사합니다.

 

@. 슈크란(대답은 아프완, 대단히 고맙습니다는 알프 슈크란, 슈크란 짓단)

 

 

11. 알겠습니다.

 

@.나암, 아나 아으리프

 نــعــم  ,  أ نــأ أ  عــر ف             

나암은(좌측) 'yes'의 뉘앙스로 쓰이고 아나 아으리프(우측)는 'I see'의 의미

 

 

 

아랍어의 갈래

언어 분류상 아랍어는 셈 이에 속하며, 셈어족 가운데 가장 역사가 짧은 언어이면서도 원시 셈 어 의 특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언어이다.

‘셈 어’란 용어는 1781년 독일인 학자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August Ludwig von Schlözer)가 최초로 사용하였으며, 셈어란 셈족의 조상이라 여기는 노아(Noah)의 아들 이름에서 연유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이보다 앞서 이미 700년 전 무슬림들이 스페인을 지배하던 시기에 안달루시아 학자 이븐 하즘(Ibn Hazm)에 의해 사용된 것으로 문헌은 전하고 있다.

현재 발견된 바로는 아카드(Akkad)어가 언어학적으로 셈어족 중 가장 오래된 언어이며, 아카드어와 같이 셈 어로 분류되는 언어들에는 현재로서는 고어가 되어버린 언어들이 많다. 따라서 아랍어는 현존하는 언어 중에 셈 어를 대표하는 중요한 언어로 간주된다. 셈 어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셈어로 분류되었던 아랍어는 1952년 조셉 그린버그(Joseph Greenberg)에 의하여 아시아 아프리카어(Afro-Asiatic)로서도 분류된 바 있으며, 종교 및 지역적 특성을 내세워 많은 언어학자들도 이 분류에 동의하고 있다.

아랍어는 그 민족적 요인을 고려했을 때는 아랍인의 언어, 종교적 요인에 입각했을 때에는 무슬림의 언어, 지리적 요인에 입각했을 때에는 서남아시아 및 북부아프리카의 언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아랍어는 인종적인 요소, 언어적인 요소, 종교적인 요소 등이 상호 결합된 채로 시간과 공간적 영역을 포함해 온 언어이기 때문에 아랍어가 단지 아랍인 또는 무슬림 또는 아라비아 반도의 언어라고 정의를 내린다면 그 정의는 완전하지 못한 정의가 될 것이다.

오늘날 아랍어를 사용하는 화자로서는 아랍인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구 소련의 중앙아시아지역 일부 주민, 동남아시아 지역 무슬림들을 들 수 있으며, 이란인과 차드 인 등을 포함한 비 무슬림 중에서도 아랍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랍어의 분포와 사용인구

아랍어는 아랍연맹( The League of Arab Nations)에 가입된 서남아시아 및 북부 아프리카에 위치한 22개 아랍국가에서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되며 전 세계 약 13억의 무슬림들에 의해 종교어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아랍어는 UN의 공용어이며, 아랍 연맹에 속한 서남아시아 및 북부 아프리카의 광범위한 지역 22개국에서 약 3억 명이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즉,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이집트, 수단, 모리타니, 지부티, 소말리아, 코모로 군도 등의 북아프리카 국가와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등의 아라비아 반도 국가, 그리고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 이른바 ‘비옥한 초생달 지역(Al-Hilāl)’에서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슬람 연맹에 가입된 55개국에서 뿐 아니라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약 13억의 무슬림들이 예배어로서 아랍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수에서 볼 때 아랍어는 중국어, 영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세계 주요 언어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아랍 국가 분포도

세계어로서의 아랍어

아랍어는 UN의 6대 공용어 중 하나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공용어 및 공식어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종교어이자 이슬람의 경전 코란의 성스러운 언어로 간주되는 아랍어는, 7세기 이슬람교의 등장과 함께 발전하였다. 22개 아랍국가에서 모국어 또는 공식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아랍어는 전 세계 13억에 달하는 무슬림들의 종교어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 대부분의 무슬림들이 본인의 모어와 국적에 상관없이 예배나 기도를 할 때 아랍어를 사용한다는 사실 또한 이슬람교와 아랍어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아랍어는 7세기이래 이슬람의 기치 하에 건설된 거대한 제국의 언어로 정착되면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듭하였다. 전 세계 역사상 가장 짧은 기간에 3개 대륙에 걸친 대제국을 건설한 이슬람 제국은 동으로는 인더스강, 서로는 대서양, 남으로는 아라비아해, 그리고 북으로는 현재의 터키 국경과 코카서스 지방에 이르기까지 그 세력을 넓혔다.

아랍어는 이러한 이슬람 제국에서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했다. 피정복 이슬람 지역에서 아랍어는 점차 공용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아랍 문화의 황금기였던 9세기와 10세기에는 수많은 문학 작품과 학술 서적이 아랍어로 기록되어 당시의 문화와 지식을 전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아랍지역의 국가들은 전략적 지정학적 위치에 있으며 세계의 3 대륙의 교차로 역할을 한다. 또 문화적으로도 고대 많은 문명들의 발상지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천연자원인 석유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농업적으로도 성장 가능한 땅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아랍 국가들은 오일 머니를 통해 세계 경제와 개발도상국들의 개발 계획에 영향을 끼치고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아랍어를 쓰지 않는 이슬람 국가들에게도 점차 영향을 주게 되면서 파키스탄이 아랍어를 공식 언어로 선언했고 학교와 대학, 그리고 방송에서 아랍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 최근 이란과 필리핀 등이 아랍어를 제2의 공용어로 소개하기도 하였다.

아랍어는 현재 UN의 6대 공용어, 아랍연맹과 아프리카 연합의 공식 언어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슬람 회의 기구(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OPEC(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GCC(걸프협력위원회, Gulf Cooperation Council), ACC(아랍협력위원회, Arab Cooperation Council) 등 여러 국제기구에서 공식 언어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랍어의 갈래와 사용현황 (세계 언어 백과, 윤은경, 김은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