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근대 의료 기관 '광혜원 · 보구여관'


광혜원 (제중원)
1885년에 한양에 세워진 최초의 근대 의료 기관이다. '광혜'란 널리 은혜를 베푼다는 뜻이다. 미국인 선교사 호르스 알렌이 조선의 제26대 임금인 고종에게 건의해 세워졌다. 광혜원은 문을 연 지 13일 만에 대중을 구제한다는 뜻으로 '제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호러스 알렌은 미국의 북장로회 의료 선교사로서 상하이에서 활동하다가 1884년에 조선에 들어왔다. 당시 조선의 기독교는 선교에만 치중하던 천주교와는 달리, 교육과 의료 활동을 통해 얻은 신뢰를 바탕으로 선교 활동을 하는 정책을 펴고 있었다. 알렌도 기독교의 이런 선교 방침에 따라 미국 공사관의 소속 의사로 일하면서 선교 활동을 했다.
알렌은 1884년에 갑신정변이 일어났을 때 부상을 당한 민영익을 치료해 고종의 신임을 얻었다. 그러고는 왕실의 의사이자 고종의 정치 고문으로 활동했다. 1885년에는 고종에게 근대식 병원을 세울 것을 제안했고, 이에 고종은 조선의 서민 치료기관이었던 혜민서와 활인서를 없애는 대신 광혜원을 세웠다. 광혜원은 근대식 병원이자 의료 교육기관으로 운영되었다. 1886년 3월에 16명의 학생을 뽑아 가르치기 시작했고, 알렌은 광혜원의 의사이면서 교수로 활동했다.
1904년에 미국의 사업가 세브란스의 기부금으로 새롭게 병원을 만들면서 광혜원은 세브란스 병원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8.15 광복 후에는 세브란스 의과 대학이 되었다가, 다시 연희대학교와 통합되면서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병원이 되었다.



보구여관
1887년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의 제안으로 미국 감리교 여의사인 메타 하워드가 서울 정동 이화학당에 세운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의 전신이다. 정동길을 걷다 보면 이화여고 담장 앞에 '보구여관'이란 표석이 보인다.
당시 메리 여사는 남자들이 운영하는 병원에 여자들이 갈 수 없는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을 들어 미국 감리교 선교부 여자 외국선교회에 부인병원 설립기금과 파견을 요청했다. 고종황제가 '여성을 보호하고 구한다.'는 의미의 '보구녀관'이란 이름을 지어 하사했다.
1890년 10월 로제타 홀이 내한해 진료를 했으며 여성 의료인 양성을 위해 이화학당 학생들을 중심으로 의사훈련과정을 만들고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인 박 에스더(김점동)를 배출했다.
1906년 세브란스병원 간호양성소와 합친 뒤 1912년 동대문에 현대식 건물을 짓고 해리스기념병원이라 부르다 1930년 동대문 부인병원을 거쳐 1945년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으로 이름을 바꿨다.
'보구녀관'은 당시 찾는 이들 대부분이 하층민이었기에 무상진료를 원칙으로 삼아 우리나라 근대 여성 의료사업뿐만 아니라 여성 인권을 위한 노력을 펼쳤다. 또한 많은 간호사와 의료진을 배출해 초창기 한국 의료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